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청년도약계좌가 11개 시중에서 2023년 6월 15일 오전 9시부터 개시됩니다. 그러면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자격기준, 신청방법, 가입기간에 대해 상세히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가입대상
- 가입을 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개인소득 요건과 가구소득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하는데요,
- 가입 나이기준은 계좌 개설일 기준으로 만 19~34세 청년으로,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합니다. 즉 군 복무 기간은 나이 산정에서 빼준다는 것 같습니다.
- 다만,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이자소득과 배당 소득의 합이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인 경우에는 가입이 제한된다고 하니 가입일을 기준으로 이전 3개년도 중 한번이라도 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했는지 확인을 하시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가입소득기준
개인소득
- 직전 연도 과세기간, 즉 2022년 1월~12월의 소득이 총 급여 기준 7,500만 원 이하인 경우 가입가능 한데요,
- 직전 과세기간, 즉 2022년 1월~12월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에는 전전 연도, 즉 2021년 1월~12월의 소득으로 개인소득 요건 및 가입가능 여부를 판단한다고 합니다.
가구소득
- 가입신청자 본인을 포함하여 가구원 전체 소득의 합계가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는 기준 중위소득의 180% 이하를 충족하는 경우 신청가능 합니다.
- 직전 과세기간, 즉 2022년 1월~12월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에는 2021년도 기준 중위소득의 180% 이하, 확정된 이후에는 2022년도 기준 중위소득의 180% 이하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고 합니다.
상품구조
-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본인이 원하는 금액을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상품으로 중간에 납입이 없더라도 계좌는 유지되며, 만기는 5년이라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
-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된다고 하며,
- 변동금리의 경우 해당 시점의 기준금리 고정금리 기간 중 적용되었던 가산금리를 합하여 설정될 예정이라고 하니, 3년 이후 적용될 금리는 그때 가서 다시 확인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총 급여 기준 개인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소득우대금리 (저소득층 우대금리)가 부여된다고 하며, 자세한 금리 정보는 아래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 가능합니다.(금리/수수료 비교공시/예상품 금리비교/청년도약계좌 순서로 검색)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보이스피싱정보
portal.kfb.or.kr
신청방법
- 6월 15일 오전 9시부터 시중 11개 은행에서 일제히 운영을 시작한다고 합니다.
-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부산. 광주. 전북. 경남. 대구은행은 15일부터 운영시작하며,
- SC제일은행은 2024년 1분기부터 운영개시 한다고 합니다.
- 취급은행의 앱(App)을 통해서 영업일(오전 9시~오후 6시 30분)에 비대면으로도 가입신청이 가능하다고 하니 원하시는 은행의 앱(App)을 다운로드하셔서 진행을 하면 은행을 방문하는 번거로움 없이 가입 진행 가능할 것 같습니다.
- 가입신청은 복수은행에서 가능하나, 계좌개설은 1개 은행만 선택 가능하다고 하니 편리한 은행을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가입기간
- 2023년 6월에는 6월 15일~23일까지만 가입신청이 가능하며, 첫 5 영업일(6월 15일~6월 21일)에는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5부제에 따라 가입신청이 가능하다고 하니, 일자별 가입 가능 출생일을 반드시 확인하여야 혼선이 없을 것 같습니다.
- 2023년 7월부터는 매월 2주간만 가입신청 기간을 운영한다고 하니 일정을 잘 확인하여 가입을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 가입신청 및 가입요건 확인과 출생연도별 계좌개설 가능일자 관련 세부일정은 아래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안내하고 있으니 출생연도별 가능일자를 확인하고 가입진행 하시기 바랍니다.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서민금융상품(근로자햇살론, 햇살론15, 햇살론유스, 미소금융), 서민생활지원, 휴면예금 지급서비스 제공
www.kinfa.or.kr
청년도약계좌 자세한 안내
청년도약계좌 관련하여 자세한 안내는 출시예정 12개 은행 콜센터와 서민금융진흥원 서민금융콜센터(1397)로 문의할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1588-9999
부산은행 1588-6200
신한은행 1577-8000
대구은행 1566-5050
하나은행 1588-1111
광주은행 1588-3388
우리은행 1588-5000
전북은행 1588-4477
농협은행 1661-3000
경남은행 1600-8585
기업은행 1588-2588
SC제일은행 1588-1599
청년도약계좌 관련 내용을 참고하여 계좌신청을 하고 많은 청년들이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분 투자해서 소액생계비대출신청 최대 100만원 바로가능 (1) | 2023.06.18 |
---|---|
'청년내일저축계좌' 2023, 신청, 놓치면 손해, 자격 조건 및 신청 방법 총정리 (0) | 2023.06.16 |
댓글